December 11, 2022
8년 동안 좋은 꿈을 꾸었다 생각하자. 원래 살던대로 돌아간다 생각하자.
December 9, 2022
거의 반 년만에 스타를 했는데, 저그전 4승을 하다니 너무 놀랍다. 석유들만 모인 곳에서 38% 정도의 승률이었는데, 반년 만에 했는데 1승이라도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최근에 산 바밀로 적축 키보드가 감이 좋은데 의자에 붙인 브레이크 캐스터가 더 영향이 큰 것 같다. 스타를 하면서 마우스를 움직이는데 의자가 미세하게 움직이는게 생각보다 정신을 매우 불안하게 했었구나 깨닫게 되었다. 의자가 고정되어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게임을 하니까 플레이 하기가 훨씬 수월하다. 승률 5할이 넘는 저그들만 4명을 잡아내어 너무너무 기쁘다!!!
December 7, 2022
요즘 세상에 무슨 쥐덫 광고인가 하면서 자세히 봤더니 필라테스 광고라고??? 사람이 저위에 누워도 되는거 맞아???
December 3, 2022
와... 1무 1패 후 한국이 16강 진출이라니... 내가 지금 어떤 세상을 살고 있는건가
November 29, 2022
축구를 보는 효용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내가 응원하는 팀이 이길 때 느끼는 쾌감이다. 경기 내용이 죽을 쑤든 어쩌든 내 팀이 이기면 기분이 매우 좋다. 첫번째 효용보다는 못하지만 두번째 효용은 축구 자체의 재미를 즐기는 것이다. 어제 가나와의 경기는 빌드업 이후 슈팅까지 가는 과정이 답답하기는 했지만, 후반에 잠시나마 2:2 동점이 되었을 때는 나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 이 정도면 경기 자체에서 느끼는 효용은 충분했다고 생각한다. 이번에도 당연히(?) 한국은 16강 진출은 어려워 보이는데 이럴 때 정신승리 하는 방법이 있다. 3경기 재밌게 하고 조별 예선 탈락을 하나, 16강에 가서 떨어지나 딱 한 경기 더 보는거라 생각하면 마음이 조금은 편해진다. 한 경기 더 봐서 뭐하려고.
November 26, 2022
힘들어 하는 리더들을 위한 얘기들. 그들은 왜 뭉쳐있어서 날 외롭게 할까? 그들은 혼자 있을만큼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왜 내가 없을 때 뒷담화를 할까? 그들은 내 앞에서 날 욕할만큼 힘이 없기 때문이다.
November 25, 2022
쉽게 뜯어진다며????
November 21, 2022
전혀 스타트업스럽지 않은 정신으로, 스타트업스럽지 않게 운영되어, 스타트업에 어울리지 않는 사람들이 일하던 그 곳은, 필연적으로 스타트업스럽지 않은 기업에게 팔려갔다.
November 16, 2022
인력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환경에서 내 업무 범위를 넘어서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오지랖은 매우 옳습니다. 단 니가 할 일은 다해놓고 오지랖 부리라고.
November 12, 2022
뭔가 우아하고 seamless한 동작 때문에 사파리 브라우저를 10년 가량 디폴트 브라우저로 써왔는데, 최근 들어 버그가 너무 심해져서 더 이상은 못 써주겠다. 유튜브에서 두손가락으로 back을 하면 주소는 이전 주소로 바뀌는데 영상은 그대로 플레이 되는 버그, 듀얼 모니터 간 창을 옮기면 창이 먹혀버려서 사라지거나, 타이틀만 남아서 아무런 동작이 안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트랙패드 클릭이 간헐적으로 먹히지 않는 것도 스트레스다. 더는 못 써주겠어서 크롬으로 넘어간다.
November 12, 2022
모자를 써서 탈모를 숨기려는 사람은 아직 탈모를 진정으로 걱정한다고 볼 수 없다. 탈모에 대한 진정한 우려가 생기면 하나라도 남은 머리카락에 공기가 잘 안통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모자를 오히려 멀리하게 된다.
November 9, 2022
진짜 비밀인데 내가 지난 대선에 처음으로 '한나라당' 계열 윤을 뽑았거든. 이유는 180석을 가진 민주당의 오만과 독선을 심판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고. 지금 윤이 잘하고 있냐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어떤 자리인지 인식 자체가 없는 인물이라는 평가. 그래서 윤을 뽑은걸 반성하냐라고 묻는다면, 딱히 반성하는거 없고 지금 대선을 치르더라도 다시 윤을 뽑을 예정. 이유는 여전히 민주당에 대한 심판 의지는 유효하기 때문. 좀 아쉬운 점이라면 국민의 힘 내부가 썩어 들어가서 경선에서 윤이 올라왔다는 점 정도. 홍이나 유가 올라왔다면 이 정도는 아니지 않았을까. 이준석이가 좀 더 영향력이 컸다면 이 정도는 아니지 않았을까 싶고. 그럼 다음 총선을 어딜 뽑아야 할지 생각해 보면 기권이 답이지 싶다. 왜냐하면 그들 본연의 모습 그대로 개삽질 중인 국민의 힘에 힘을 실어주는건 말이 안되고, 그렇다고 민주당을 뽑아서 그들이 개헌선까지 만약 확보했을 때 일어날 일도 어질어질하기 때문. 그럼 다음 대선은 어떻게 할까 묻는다면, 현 국민의힘을 심판해야 할 명분이 충분하므로 다시 민주당으로 가야겠지. 이게 흔히 하는 환국투표라는건가... 제대로 된 당과 인간들이 정치를 하는게 그렇게 어렵나? 평범한 인간이 살면서 전과 만들기가 쉽지 않은데, 선거에 튀어나오는 인간 중 전과 없는 인간이 오히려 드물고... 뭔 무속신앙이 왜 엮이는지도 모르겠고. 아니면 일반인과 다른 저정도의 비범함(?)이 있어야 저 정도의 높은 권력을 차지할 수 있는건가 싶기도 하고. 쉽지 않네.
November 9, 2022
맥북 M1의 장점은 수없이 많지만, 사소한 것 중 하나는 발열이 아예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진정한 의미의 'laptop'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November 2, 2022
주최측이 없는 행사는 책임지지 않는다는건 정말 궁색한 논리다. 주최측은 행사의 성공을 책임져야 하고, 공공의 안전은 정부가 책임져야지.
November 2, 2022
내가 아주 잘 볼 수 있는 곳에 이걸 덩그러니 올려둔 의도가 뭐지...
November 1, 2022
정확하게 맞은 초점과 노이즈 없는 깨끗함이 사진의 예술성을 점차 죽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October 29, 2022
처음엔 몸을 편히 쉴 수 있는 리클라이너 하나가 있었으면 했다. 아버지가 사용하던 스트레스리스 리클라이너를 중고로 가져왔다. 음악을 좀 더 좋은 음질로 듣고 싶어 울트라손 내추럴 헤드폰을 샀다. 출력이 부족한 것 같아 ifi 그리폰을 샀다. 울트라손으로 좀 부족하지 않나... 젠하이저 헤드폰이 있으면 어떨까 생각이 든다. 돈지랄 3대 취미라는 자동차, 카메라, 오디오에 전부 맛을 들이고 있다.
October 28, 2022
벤츄라 업데이트를 헀는데, preference가 setting이라고 변한게 가장 적응이 안되는구나... 이 버전에서는 사파리 오류가 좀 줄어들었으면 좋겠네.
October 28, 2022
시어머니나 직장 상사가 '나랑 있으니까 불편하지?'라고 묻는건, 자신이 불편한걸 모르는건지, 불편하지만 아니라고 답해주기를 바라는건지, 위치에서 오는 불편함을 넘어선 인간적인 교감이 있기를 바라는건지, 도대체 왜 이런 질문을 하는건지 모르겠다.
October 28, 2022
인간은 3차원 공간에서 x축과 z축으로 움직인다. 때때로 y축을 타고 움직일 때도 있지만, 이건 산이나 계단을 올라간다든지, 비행기를 타거나 도구의 힘을 빌려야 한다. 그런데 새들은 y축을 마음껏 활용해서 날아다닌다. 새들이 날아 다니는 모습을 보면 모든 힘 중에 왜 중력이 가장 약한 힘이라고 하는지 알 것 같다. 조금 가벼운 무게와 날개짓만 있어도 중력은 극복할 수 있는 힘이다. 그 약한 힘도 공중에서 떨어지는 인간에게는 무서운 힘으로 작용한다. 새 뿐만 아니라 y축을 활용하는 동물들이 또 있다. 물 속에 사는 생물들도 자유롭게 y축을 타고 이동한다. 물 위로 떠올랐다가 다시 가라앉는다. 단 공기를 매개로 하는지 물을 매개로 하는지만 다를 뿐이다. 그러고 보면 인간도 물 안으로 들어가면 y축을 활용할 수 있다. 단지 공기 중에서 중력을 이기지 못할 뿐이다. 그러면 우리가 날 수 없다는 것은 공기 속에 살아가는 것을 전제로 하는건데, 공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필연적일까. 사람이 공기 중에 살아가니까 필연적인 기준점일 수 있겠다. 공기중에서 새들은 날아 오르고, 물고기는 물 속에서 날아오른다. 인간이 날 수 없다는 사실이 상대적으로 조금은 초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